사람도 어려운 '문워크'를 해낸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문워크 성공, 완전 국산 기술력 입증. AI 제어 시스템부터 하드웨어까지 독자 개발한 로봇 기술이 미래 산업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예상합니다.
Sep 19, 2025
사람도 어려운 '문워크'를 해낸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마이클 잭슨의 문워크를 구현한 KAIST 휴머노이드 로봇의 등장

9월 19일(금) 로봇 기술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발표되었습니다. KAIST 박해원 교수팀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마이클 잭슨의 상징적인 안무 '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는데, 이는 단순한 기술적 시연을 넘어서 한국의 로봇 기술이 글로벌 수준임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Video preview
출처 : 카이스트(KAIST)

KAIST 휴머노이드는 어느정도로 사람과 유사할까?

이번에 공개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키 165cm, 체중 75kg으로 성인 남성과 유사한 체격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핵심 부품을 자체 설계하고 제작했다는 점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모터부터 감속기까지 모든 핵심 부품을 연구팀이 직접 설계하고 제작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AI 제어 시스템도 독자적으로 구축했습니다.
현재 이 로봇은 최대 시속 12km로 주행할 수 있으며, 30cm 이상의 높은 턱도 올라갈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속도를 시속 14km까지 높이고, 40cm 높이의 단차 극복은 물론 사다리까지 오를 수 있도록 성능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시뮬레이션을 넘어 기술 현실화

연구팀이 해결한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심투리얼(Sim-to-Real)' 문제입니다. 가상 환경에서 훈련된 AI가 실제 하드웨어에서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로봇학의 오랜 난제였는데, KAIST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했습니다.
추가로 개발된 '호핑 로봇'은 한 다리로 균형을 유지하며 360도 회전까지 가능한 수준의 제어 기술을 보여줍니다. 이는 참고할 수 있는 생물학적 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순수 AI 기술로 구현된 성과라는 점에서 기술적 의미가 큽니다.

완전체 휴머노이드를 향하여

현재 하체 플랫폼 개발이 완료된 상황에서, 연구팀은 상체 부분인 로봇 팔과 손, 그리고 정교한 위치 인식 시스템과 시각 기반 조작 기능을 추가해 완전한 형태의 휴머노이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완성되면 이 로봇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옮기고, 밸브나 문고리 같은 정밀한 조작이 필요한 작업, 그리고 여러 단계가 복합된 복잡한 업무까지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특히 산업 현장에서 사람이 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작업들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학술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계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연구 결과는 10월 1일 '휴머노이드 2025' 학회에서, 알고리즘 연구 결과는 9월 29일 'CoRL 2025' 학회에서 각각 발표될 예정입니다.

산업적 관점에서의 의미와 향후 전망

notion image
이번 KAIST의 휴머노이드 기술 성과를 향후 산업 생태계 관점에서 살펴보면, 세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기술 자립도 확보의 전략적 가치

핵심 부품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요소를 자체 개발한 것은 공급망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로봇 기술의 완전한 국산화는 미래 제조업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입니다.

새로운 산업 생태계 창출 가능성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성숙은 단순히 기존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 모델과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로봇 설계, 제조, 유지보수, 운영 최적화 등 전 과정에서 새로운 전문 인력 수요가 발생할 것이며, 이는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 기반

급속한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라는 사회적 도전 앞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은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돌봄 서비스, 위험 작업 대체, 정밀 제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가 마련될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발전은 결국 인간이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는 전체 산업 생산성 향상과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로봇트랜드 #KAIST로봇 #휴머노이드 #로봇기술 #AI기술 #로봇산업 #기술자립 #미래산업 #혁신기술 #K로봇 #로보틱스 #브이디로보틱스 #문워크로봇 #스마트팩토리 #로봇자동화
Share article